Home | Login | Join | Skip Navigation
아주대학교 광전자재료 연구실 로고
News
Q&A
Photo Album
Research Field HOME > Board > News
제목 2025 한국센서학회 최우수 논문상 및 우수 논문상 수상
첨부파일
조회수 13 등록일시 2025-11-17 10:01






우리 연구실 에너지시스템학과 루바야 [Rubaya Yeasmin]박사후 연구원과 석사과정 장해찬 학생이 ‘한국센서학회(The Korean Sensors Society)’에서 Young Scientist Forum(YSF) 세션에서 우수 논문상(루바야), Poster 세션에서 최우수 논문상(장해찬)을 수상했다. 학술대회는 한국센서학회 주최로 지난 달 22일부터 24일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개최됐다.

‘한국센서학회에서는 국내·외 저명하신 플레너리 연사를 모실 예정이며 센서기술 전반을 아우르는 14개의 전문연구회에서 연사분들과 산학연전문가, 대학원생, 그리고 초청강연사를 포함하여 약 700여명이 참석했다.

루바야 연구원은 “Skin-conformal self-healing polymers for wearable and healthcare sensors”라는 제목의 논문을 Oral Presentation으로 진행하였고, 
장해찬 학생은 "Optimization of PEALD-Al₂O₃-Based Humidity passivation and Hydrogen Permeation barrier for Pd-Ni Hydrogen Sensor Performance under High Humidity Environment" 라는 제목의 논문을 Poster 발표를 진행했다. 논문 지도는 에너지시스템학과 서형탁 교수가 맡았다. 

루바야 연구원의 발표논문은 뛰어난 피부 적응성, 자가치유성,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가진 다기능 고분자 복합재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소개했다. 개발된 복합재는 멀티모달 센서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였고, 실시간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분야에서도 실제 적용이 입증되었다. 이 혁신은 차세대 웨어러블 및 헬스케어 기술, 특히 인공/전자 피부와 스마트 웨어러블 센서 개발에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어 학제간 연구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있고, 장해찬 학생의 논문은 가혹한 조건 중 하나인 고습 환경에서도 수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, 기존 보호막을 개선한 연구로 주목을 받았다. 이를 위해 원자층증착(ALD) 공정을 통해 Al₂O₃을 활용한 보호막을 디자인하여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수소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도록 설계한 것이 핵심 내용이다.

이번 대회에서는 LG전자, LG에너지솔루션, 한국나노기술원(KANC), ETRI, EVG 등 반도체회사 및 연구소 그리고 배터리 회사 등 참여했으며, 국내·외 산업체 논문을 포함하여 총 4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.
목록

아주대학교 광전자재료 연구실 우443-74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산 5번지 아주대학교
Copyright(c) 2013 Advanced Electronic & Energy Materials Laboratory, All Rights Reserved.